Open Close Button
연구보고서
메뉴 더보기 메뉴 더보기

기본연구과제

알림

지방자치제도 전반에 대한 이론적・학문적・정책적 기반을 제공하는 중장기 기초연구입니다.

menu
  • 지역발전>지역문화

기본보고서

고령화의 지역경제효과분석

visibility 48,387 file_download 5,445

영문제목 The regional economic effect analysis of the ageing
연구자 박승규, 이제연
발간연도 2016
다운로드 고령화의 지역경제효과분석 file_download
  • 국문요약expand_more

  • 영문요약expand_more

  출산율 감소로 인한 인구 고령화와 기대수명의 증대는 생산 가능 인구의 감소로 이어지며, 이는 세계적으로 가속화되고 있는 중이다. OECD 국가에서 고령화의 대리변수로 사용되는 생산 가능 인구 대비 65세 이상 인구의 비율은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고령화 추세는 한국도 예외가 아니다. 고령화 진행과 함께 가계 소비 지출 역시 증가하였으며, 의료부문 소비 증가와 함께 의료부문 및 보건건강 분야의 투자 역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령화의 영향과 인구 고령화에 관한 다양한 측면의 연구를 고려하였다. 첫째, 일반적으로 고령화는 증가된 기대수명 연장의 관점에서 고려되었으며 기대수명 연장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정리하였다. 둘째, 기대수명 증가에 의한 인구고령화는 경제 성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간주되된다. 특히, 경제 성장과 관련한 관계는 Romer(1996)의 세대간 소비변화에 기초하고 있으며, 경제에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어 이를 고려한 연구를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기대수명을 증대시키려는 노력은 의료 분야의 자원을 집중시키는 성과를 이루었다. 한편, 기대수명을 넘는 고령화는 의료 분야의 수요를 촉발시켰고, 궁극적으로 다른 분야에 사용될 수 있는 자원을 의료 분야에 집중하여 전반적인 성장은 감소 하는 경향을 고려하였다.
     따라서 고령화는 기대수명의 증대와 평균 연령의 증가를 통하여 삶의 증대로 간주되며, 이는 저축, 기술, 고용, 자본, 소비에 의한 인구 고령화로 야기되는 성장 효과로 나타난다. 더불어 교육, 이민 등을 고려함으로써 고령화에 대한 상쇄요인들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였다. 반면, 고령화는 일반적으로 의료와 관련된 투자를 다루며 더불어 의료 기술의 투자, 의료 혜택, 의료 광고 소비의 영향도 고려된다. 따라서, 경제적인 효과를 고려하지 않은 의료소비의 증가는 기대수명의 연장을 통하여 개인의 효용 및 편익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사회적 혜택을 감소시켜 경제적 성과를 낮출 수 있어 의료소비 증가에 따른 고령화와 지역경제변화에 대한 효과 분석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2년부터 2013년까지의 16개 시도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시도별 의료 소비에 의한 지역경제 효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공간적 범위는 인구변화로 인한 효과, 인구변화에 대한 정책 변화는 16개 시도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2장은 고령화의 이론적 배경 접근, 고령화와 관련된 이슈, 고령화가 미치는 지역경제 영향, 고령화와 의료 소비에 대한 기존연구의 검토를 실시하였으며, 고령화 분야에 주로 사용되는 정량적 방법론을 검토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사용된 방법론에 대한 검토 및 사용 변수에 대한 검토 결과를 제시하였다. 3장은 고령화의 일반적인 관점과 함께 고령화의 지속적인 추세를 맞이하여 경제 성장 변화를 직면할 수 있는 한국의 현재 상황에 대한 실증적인 접근 방식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자료는 실증분석, 분석 모델 배경, 결과를 위한 기술적 통계를 제시하였다. 실증적 모델은 방법론과 중요성 분석, 패널 연립 방정식에 의한 실증적 결과로 구분되어 나타내었다. 또한, 주요 변수에 의해 시행된 모의시험은 시나리오의 사전 및 사후 모의시험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중요변수의 변화에 따른 거시경제적 변화를 제시하였다. 4장은 실증분석 시행을 통한 결론과 함의를 도출하고 지역과 미시적 경제 성장에 따른 지역경제적 효과의 전반적인 결과를 제시하였다.
Reduction in the fraction of the working-age population by falling rate of labor force may be become one of the reasons to make economy grow more slowly. The difficulty of obtaining job, the increase of life expectancy, and mobility toward bigger regions are emerged as social problems in global age structure, and Korea is not free to be exception. These changes reflect that too few people to produce the goods and services that people want to consume, while most of people including young and old generation need more goods and services. Therefore, low employment rate, high rate of the old, and migration toward bigger region play a role to cease to grow economy in the regional and macro level.
   Generally, increasing longevity caused change in population age distribution (Lee, 2003), and change of labor force which is caused by population change affects to the economic growth. Therefore, just defining change of labor force as the change in whole labor force is not proper to explain how much change of labor force affects to the economic growth, since the changes in labor force are brought from different sources. Heijdra and Romp (2006) also supported this as suggesting that there were many sources to determine a unique path as considering the population changes.
   Regarding ageing, life expectation is growing more than before. Ageing is not independent with fertility, mortality, and migration, because population growth of ageing is affected by low fertility and mortality, and high migration. Therefore, the increase of ageing population is considered as a one kind of critical results of low fertility because individuals live longer and tend to have fewer children. The decline of labor force will increase the working age share because the number of youth dependents falls with the number of working age individual increases. Increase of ageing will affect to the decline of working age, because old age will act as a dependent to the working ratio. This growing ageing is typical fashion of both region and nation. Therefore, it cannot be hard to express that shortage of youth and increment of old age have a mutual relation each other. But, other factors, such as spending more to medical treatments and services in order to sustain and extend their health condition better, should have to be considered. The impact of ageing to the economy is not solely dependent on the change of the number of ageing. Because, growing trend of ageing affects to the economy may have both perspectives, positive and negative. Therefore, transitory changes due to population variation lead to changes of saving, and consumption behaviors and along with population and labor supply decision by government policy. These economic symptoms are easily found in the Ludwig (2005) that magnitude of demographic changes will affect future labor, capital and consumption goods markets. Therefore, finding the effects of ageing by increasing medical consumption in the regional level on the regional economy are worthy to receive much more attention. The decline in fertility rates and the increase in life expectancy were regarded as current demographic trends and it has an economic impact on growth. Ageing is a one kind of phenomenon to bring change of demographic structure. Combine ageing with growth model, which will drive change of population along the growth path.
   As mentioned above, increased longevity led to population ageing especially in the developed countries and it caused how increasing concerns about ageing has impact on economy. However, many of issues raised from above former literature, the effect of ageing by medical industry have received scant attention, even Korea faced difficulties to obtain medical data, especially in the industry perspective. Also, it is already shown in the many previous studies that medical consumption and ageing has deep and bidirectional relationship, but it is not easy how their relationship has economic effects to the regional economy.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and effect of change of medical consumption and ageing, which seldom made explicit, with estimating the effect on macroeconomic factors by panel simultaneous equations empirically. Setting up panel simultaneous equations are based on theoretical overlapping generation model, which is helpful to find general equilibrium across generations, and it can show how trend of ageing of each cohort affects to the generations through macroeconomy.
   As considering suggestion from the previous studies, section two reviews theoretical approach to ageing and similar issues regarding regional economics and medical consumption, and methodologies which are frequently used in ageing field. Section three turns into empirical approach that suggests current situation faced ageing in Korea which may cause change of economic growth by the persistent trend of ageing, along with general perspective of ageing regarding finding. Also, it shows data, descriptive statistics for the empirical analysis, empirical model background, model, and empirical results. Empirical models are separated to show methodologies, significance test, and empirical results of panel simultaneous equations. And, simulations, which are taken by key variables, shows scenario and ex-post and ex-ante which are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Section four provided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through conducting empirical analysis, and suggested the overall results of economic effects on regional and macroeconomic growth along with further issues.

list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