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과거자료)
국내지방자치동향 (~ 2019.12)
국내지방자치단체들의 주요 움직임과 활발한 정책 수행에 대한 정보를 알려 드립니다.
전라남도 자체조직진단
조회수 |
6,635 |
---|---|
저자 |
|
다운로드 |
파일없음 |
전라남도 자체조직진단
권오철(한국지방행정연구원 연구위원)
Ⅰ. 자체조직진단의 개념
○ 조직진단은 지방자치단체가 조직관리의 효율성과 행정서비스의 질적 제고를 목적으로 실시하는 조직운영에 대한 분석작업을 말함
○ 조직진단은 진단주체에 따라 외부 전문기관에 의한 외부조직진단과 내부 공무원들에 의한 자체조직진단으로 나눌 수 있음
- 일반적으로 조직진단의 전문성과 객관성 확보를 위하여 외부조직진단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 전라남도의 경우 누적된 노하우를 기반으로 자체조직진단을 실시해 오고 있음
Ⅱ. 자체조직진단의 추진 개요
1. 2016년 추진방향
○ 전라남도의 조직진단은 진단의 핵심인 사무량조사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조직진단 담당부서이 주체가 되어 정량적 측면의 진단과 함께 조직구성원의 공감대를 높이기 위하여 비정량적 측면에 대한 다양한 보완조사를 함께 추진함
○ 또한 진단결과에 대해서는 업무 및 인력조정, 부서 통폐합 등 조직운영에 반영하여 제도화 함으로써 조직진단의 실효성을 높이고자 함
2. 추진개요
○ 시감범위 : 2015.1 ~2015.12(1년간)
○ 대상범위 : 312개 부서·담당 / 1,469명(5급 이하)
○ 진단방법 : 정량평가 기본, 정성평가 보완
○ 추진절차
구분 | 기간 | 주요내용 |
기본계획 수립 | ’15. 9. | 기본계획 수립(추진방향, 평가기법, 추진일정 등) |
사전준비 | ’15. 10. | - 부서별, 노조 등 의견수렴 - 새로운 분석기법 도입검토 - 야근실태조사 정례화(‘15.9월~’16.3월) |
기초자료수집 | ‘15. 12. | 전자결재 목록 정비, 비전자문서 취합 분류 개인별 직무기술서 작성, 사무분장표 검토 |
정량평가 | ‘16. 2. | 전자결재 및 대면결재 문서 계량화 실과별 고유지표 반영 개인별 직무기술서 분석, 유형화 등 |
정성평가 | ‘16. 3. | 전임자 면담 실시 야근실태 분석 등 |
검증 | ‘16. 4. | 노조 및 외부전문가 의견수렴 |
종합분석 | ‘16. 4. | 종합분석 및 결과 반영방안 마련 |
활용 | ‘16. 하반기 | 제도화(조직개편 및 인사 반영) |
3. 진단기법과 적용방법
(1) 정량평가
① 문서생산량조사
구분 | 주요 내용 |
조사방법 | 개인별 문서생산량을 계산식 대입, 업무시간 도출 |
대상기간 | ‘15. 1 ~ 12(1년간) |
조사내용 | 문서생산량, 결재기준별 소요시간 부여, 업무관련 보고서 산출 등 |
② 실과 고유평가지표 적용
구분 | 주요 내용 |
적용지표 | 업무중 기획, 조사, 연구, 현지활동 등 기준시간 설정 |
적용방법 | 부서의 업무특성을 감안 적정여부 판단 |
③ 불필요한 일 버리기 평가
구분 | 주요 내용 |
적용지표 | 업무중 발굴, 폐기건수를 감안한 평가 비율 |
적용방법 | 비율에 따라 3단계 평가 |
④ 개별 직무기술서 유형화 진단
구분 | 주요 내용 |
대상범위 | 개인별, 부서별 연간 업무 처리량 |
유형영역 | 수행체계, 업무주기, 난이도, 결재권자 |
(2) 정성평가
① 전임자 면담
구분 | 주요 내용 |
면담인원 | 2명(과장1, 직원1) |
적용방법 | 업무량 적정성, 인력조정 필요성 등 |
② 야근실태평가
구분 | 주요 내용 |
점검시간 | 월 2회(야근의 보편적 검증 가능 시간대) |
점검방법 | 조직관리부서, 복무관리부서 조사요원 실과방문 / 야근 본래목적 수행여부 검토 |
Ⅲ. 자체조직진단의 성과
○ 전라남도의 자체조직진단은 조직진단에서 정량적 접근방법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정성적 접근방법을 포함하여 다양한 보완시스템을 활용하고 있음
- 물론 조직진단, 특히 정량진단이 가지는 한계를 여전히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 지난 수년간의 정례진단을 통하여 그 한계를 보완해 나감으로써 자체진단역량의 내실화를 기하고 있음
○ 이와 같은 정례적 조직진단의 노하우 구축과 함께 외부조직진단이 가지기 어려운 내부접근성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다양한 진단방법을 접목시키고 있으며, 그 결과에 대하여 내부의 공감대를 이끌어 내고 있다는 측면에서 여타의 지방자치단체 조직진단과는 다른 독자의 의미를 가지고 있음